전체 글 5428

인간은 우주의 배 속에서 태어났으니까

끌어당김의 법칙이나 카르마를 논할 때 자주 등장하는 작용반작용의 법칙. 맞아. 우주는 작용반작용의 법칙으로 돌아가지. 그렇다고 해서 우주가 선과 악조차도 없이 100% 기계적으로만 돌아가는 건 아니야.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알 수 있듯이 인간이 뚝딱 새로 생겨났다가 완전히 소멸한다는 비인간성 합리화 관련 주장들도 틀린 거고. 인간은 우주의 배 속에서 태어났으니까.

숨 ♤ 쉬기 2025.08.14

대인이 거리두기를 한다는 것

대인으로 회복되어 갈수록 소인배들과는 거리두기를 하게 되어가는 것은 그들식의 증오심과 편가르기 때문이 아니다. 오히려 사랑과 존중 때문이지. 왜..? 내면을 바라보는 시간이 훨씬 더 많은 대인으로 회복되어 가는 사람들은 가뜩이나 많이 부족해진 소중한 그 자리들을 미안하지만 소인배들에게까지도 나누어 줄 순 없으니까. 대인과 소인 사이 어디쯤 와 있는지는 시기 질투라는 기준점으로 성찰해 보면 되고. 물론 좋은 대인이라도 다 인연이 될 순 없겠지. 한 인간으로서의 용량의 한계 때문에. 그리고 하늘의 인연 때문에. 그래서 대인들은 잔머리 억지 인연은 절대로 맺으려 하지 않는 것이고. 소유물도 아니고.

숨 ♤ 쉬기 2025.08.12

나이 때문에 주저하는 사람들에게

연예인들 얘기를 할 때면 ‘벌써 30대, 혹은 40대…’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. 40대의 여가수가 섹시의상을 입고 나서면 그야말로 ‘사건’이 된다. 그 가수 나이가 몇인데… 라는 말을 들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. 왜 한국인들은 남보다 더 일찍 늙는 걸까.연예인이나 특정 직업뿐만이 아니라 한국인들은 “내 나이가 몇인데…”라는 말을 곧잘 하고는 한다. 자신의 꿈이나, 연애, 결혼에 대해서 언급할 때도 ‘지금 내 나이가 얼만데…’하면서 주저하는 모습을 목격할 때가 많다. 도대체 누가 나이라는 족쇄를 채워놓았는지는 모르지만 나이 때문에 할 수 없는 일은 없다.결혼 적령기를 넘어선 여성이 자신의 나이를 밝히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거나 ‘나이만 먹었다’며 자조적으로 말하는 걸 들은 적이 많다. 어떻게 세월이 흘..

긍정의 힘♡ 2025.08.12